
감성 포장에 딱! 고급형 한지 라벨 소개
안녕하세요 🙂
오늘은 감성 포장, 수공예 제품, 전통 식품 라벨 등에 잘 어울리는 고급형 종이 라벨 “한지 라벨”을 소개해 드릴게요!
표면이 매끈하지 않고, 전통 한지 특유의 질감이 살아 있는 라벨이라 손끝으로 전해지는 감촉부터 남다릅니다.

✔️ 한눈에 보는 한지 라벨 특징
-
✅ 전통 한지 느낌 그대로! 거친 질감이 살아 있는 종이 라벨
-
✅ 잉크젯·레이저 프린터 모두 호환 가능!
-
✅ 손글씨 캘리그라피에도 최적화
-
✅ 고급 식품 및 전통 포장 등에 감성적인 포인트 완성
-
✅ 강한 점착력 & 넓은 사용온도 범위로 실용성 UP!

📐 제품 사양 (Detail Spec)
항목 |
사양 |
표면지 두께 |
90μm ± 10% |
이형지 두께 |
70 ± 5μm |
이형지 평량 |
80 ± 5 g/m² |
점착력 |
800gf 이상 (KS T 1028 180° PEEL 25mm 기준) |
사용 온도 범위 |
-5℃ ~ +120℃ |


잠깐!! 한지에 대해서 좀 알아볼까요?

한지는 …
한지는 주로 닥나무(산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의 껍질에서 얻은 섬유인 ‘닥섬유’로 만들어집니다.
이 닥섬유는 부드러우면서도 질기고, 종이의 생명인 ‘결‘이 살아 있어 시간이 지나도 잘 찢어지지 않아요.
🕰️ 한지의 역사
-
삼국시대 이전부터 종이 제작 기술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
-
고구려에서 중국보다 앞서 종이를 만들었다는 기록도 있음.
-
조선시대에는 궁중, 관청, 민간에서 널리 사용됨.
-
조선 후기에 접어들며 다양한 용도(책, 창호지, 그림, 부채, 갑옷, 장례용 등)로 발전.

🛠️ 한지의 제작 과정 (수작업 기준)
-
닥나무 수확
-
가을~겨울에 닥나무 가지를 잘라 물에 삶아 껍질을 벗김 → 백피(껍질의 흰 부분) 확보.
-
껍질 삶기
-
백피를 알칼리(재를 우린 물 등)에 넣고 푹 삶아 섬유질 부드럽게 만듦.
-
불순물 제거(도침)
-
삶은 섬유를 흐르는 물에 담가 불순물을 손으로 골라내는 섬세한 작업.
-
섬유 두들기기(타지기)
-
도침이 끝난 섬유를 방망이로 두들겨 부드럽게 풀어줌. 이 과정에서 섬유가 얇고 길게 풀어져 종이로 만들기 적합한 상태가 됨.
-
발지(뜨기)
-
닥섬유+황촉규 풀을 물에 풀고 ‘발’(대나무로 만든 틀)로 종이 뜨는 작업.
-
전통적 기법인 흘림 뜨기 또는 떨림 뜨기 방식 사용.
-
건조
-
종이를 나무판자에 붙여서 햇볕과 바람에 말림.
-
평평하고 단단하게 건조해야 울지 않고 곱게 마름.
전통과 역사가 살아있는 우리나라 한지, 아이라벨의 한지 라벨은 이러한 공정을 통해서 수작업으로 제작되는 한지를 라벨로 만들고 있습니다.
알고 쓰면 더욱 좋은 한지와 한지 라벨 많이 사랑해 주세요.
한지 라벨의 표면

한지 라벨의 표면에 작은 점과 같은 패턴이 있는 것은 라벨의 불량이 아닙니다.
보이는 불순물은 한지의 제작 공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원료인 닥나무의 껍질로 라벨의 인쇄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오히려 한지의 매력을 더 돋보이는 부분입니다. 참고하세요.
🎁 활용 예시 (추천 사용처)
💌 1. 캘리그라피 & 손글씨용 라벨
-
번짐이 적고, 손맛이 살아있는 연출이 가능해요!
🎀 2. 선물 포장 메시지 라벨
-
따뜻한 감성 메시지를 담아 선물의 가치를 높여보세요.
🍪 3. 전통 식품 (한과, 뚝배기 요리, 수제차 등) 라벨
-
포장지나 유리병에 붙이기만 해도 분위기 완성!
☕ 4. 수제청 / 커피 라벨
-
심플한 병에 부착하면 브랜드 퀄리티가 확 살아나요.









📝 마무리하며
디지털 시대 속에서도, 종이의 따뜻함은 늘 마음을 건드리죠.
한지 라벨은 전통의 감성과 현대적 실용성을 동시에 담은 라벨이에요.
직접 사용해 보시면, 포장할 때마다
작은 정성과 따뜻한 이야기가 담긴 느낌을 받으실 거예요.

🛍 한지 라벨로 당신의 브랜드와 이야기를 전해보세요.
사용한 제품
CL428HJ 흰색 한지 라벨 보러가기 >
CL580HJ 흰색 한지 라벨 보러가기 >